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1

[우리말]두루뭉술, 두리뭉실, 두루뭉실 어떤 게 표준어인가? 국어를 사용하다 보면 '두루뭉술', '두루뭉실', '두리뭉실'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정답부터 이야기하자면 세 단어 모두 표준어이며,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각각의 단어의 의미와 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Index   두루뭉술 vs 두루뭉실 vs 두리뭉실 용어의 비교두루뭉술, 두루뭉실, 두리뭉실은 분명하지 않고 애매한 모양이나 태도를 주로 표현둥글둥글하고 부드러운 모양을 주로 표현'두루뭉실'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세 단어의 사전적 의미와 어원두루뭉술: '두루-'(골고루) + '-뭉술'(뭉그러진 모양)두루뭉실: '두루-'(골고루) + '-뭉실'(뭉그러진 모양)두리뭉실: '두리-'(둥글다) + '-뭉실'(뭉그러진 모양)  각 단어의 주된 사용 상황두.. 2025. 1. 8.
[우리말] 낫았다, 낳았다, 나았다 혼동하기 쉬운 우리말 국어를 사용하다 보면 '나았다', '낳았다', '낫았다'를 혼동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각각의 단어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히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세 단어의 의미와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Index  낫았다 vs 나았다 vs 낳았다 단어 비교'나았다'의 올바른 사용법 '낫다'의 과거형으로, 병이나 상처가 치료되었음을 의미한다."감기가 다 나았다.""부상이 나았다.""기분이 나았다.""상처가 나았다." '낳았다'의 올바른 사용법'낳다'의 과거형으로, 출산하거나 새끼를 낳았음을 의미한다."어머니가 나를 낳았다.""암탉이 알을 낳았다.""쌍둥이를 낳았다.""자식을 낳았다."  '낫았다'의 잘못된 사용'낫다'의 과거형은 '나았다'이므로 '낫았다'는 잘못된 표현이.. 2025. 1. 7.
[되레(O) vs 되려(X)] 실수하기 쉬운 우리말 국어를 사용하다 보면 '되레'와 '되려' 중 어떤 것이 맞는 표기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정답부터 이야기하자면 '도리어'의 준말로 '되레'가 표준어이며, '되려'는 잘못된 표기이다. 왜 '되레'가 맞는 표기인지 자세히 알아보자. Index  되레 vs 되려 실수하기 쉬운 단어되레되려 표준어표준어  표준어 '되레' 를 들자면  '되레'는 '도리어'의 준말로, 국어사전에도 이렇게 등재되어 있다.'도리어'의 준말표준국어대사전에 '되레'로 등재됨.오히려, 반대로라는 뜻을 지님 '되레'의 올바른 사용법"혼냈더니 되레 화를 낸다""도와주려 했는데 되레 귀찮아한다""주의를 주었더니 되레 큰소리를 친다""칭찬하니 되레 부끄러워한다" 자주 혼동되는 상황과 올바른 사용법상황 1: 일상적인 대화에서"오히려 되레 좋았다... 2025. 1. 6.
[시구 (O)vs 싯구(X)] 어떤 게 바른 표현이지? 국어를 사용하다 보면 '시구'와 '싯구' 중 어떤 것이 맞는 표기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정답부터 이야기하자면 '시구(詩句)'가 올바른 표기이다. 왜 '시구'가 맞는 표기인지 자세히 알아보자. Index   시구 vs 싯구 표기법 비교 '시구'는 한자어 '시(詩)'와 '구(句)'의 결합으로, 사이시옷이 필요하지 않은 단어이다. 따라서 '싯구'가 아닌 '시구'로 표기해야 한다. 한자어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규칙을 따라야 함을 알아두자. 한자어끼리 결합할 때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순우리말과 한자어가 결합할 때 사이시옷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한자어는 원래의 한자 발음대로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시구'가 올바른 이유'시구(詩句)'는 한자어로, 한자어 합성어의 올바른 표기법을 따른다.시(詩):.. 2025.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