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보고서/직업보고서

[직업탐구생활] 고위공무원에 대해 알아보자

by 카카오T 2022. 5. 21.
728x90
반응형

고위공무원에 대한 직업 요약 보기

 

하는일 중앙 및 지방행정기관에서 정부정책과 그에 관련된 정책 집행을 기획·지휘·조정한다.
교육/자격/훈련 관련학과 관련자격 훈련정보
    의회의원·고위공무원 및 공공단체임원
임금/직업만족도/전망 임금 직업만족도 전망
조사년도:2020
임금 하위(25%) 8500만원
평균(50%) 9000만원
상위(25%) 9500만원
81% 증가(7%)
현상유지(90%)
감소(3%)
능력/지식/환경 업무수행능력 지식 환경
인적자원 관리(100)
협상(99)
듣고 이해하기(99)
말하기(99)
문제 해결(99)
경영 및 행정(100)
인사(100)
철학과 신학(97)
(96)
사회와 인류(96)
의사결정 권한(99)
의사결정 가능성(99)
연설, 발표, 회의하기(96)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96)
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93)
성격/흥미/가치관 성격 흥미 가치관
리더십(96)
성취/노력(96)
사회성(90)
정직성(88)
혁신(86)
사회형(Social)(97)
진취형(Enterprising)(96)
관습형(Conventional)(91)
현실형(Realistic)(82)
탐구형(Investigative)(40)
애국(99)
타인에 대한 영향(98)
성취(98)
다양성(96)
인정(94)
일자리 현황 고위공무원
관련직업 기업고위임원
 
 
 

필요 기술 및 지식

 

고위공무원이 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공무원 공개채용시험에 합격하여 승진경로를 밟거나 특별채용되는 방법이 있다. 공무원의 채용은 공개채용을 원칙으로 하되 공개채용시험에 의한 충원이 곤란한 분야에 한해 제한적으로 특별채용시험으로 뽑고 있다.

 

시험응시는 학력 및 경력의 제한이 없으나 지방직의 응시자격은 지역거주자로 제한하고 있다. 공무원이 되기 위한 특별한 교육과정은 없으며 보통 사설학원을 다니거나 독학으로 시험을 준비한다.

 

시험에 합격하면 합격자가 채용 후보자 명부에 등록을 해야 하며, 시험실시기관에서는 각급 기관에 결원이 생길 때마다 시험성적, 훈련성적, 적성 등을 참작하여 임용을 추천하게 되며 이들의 승급 및 승진은 국가공무원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위공무원의 일자리전망

 

향후 5년간 고위공무원의 일자리는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고위공무원은 행정관리에 대한 폭넓은 시야를 가진 전문가로 대통령, 국무총리, ·차관, 1급 이상 공무원, 중앙정부 고위공무원(3급 이상), 지방정부 고위공무원(기관장), 시도지사(부시장, 부지사), 군수(부군수), 구청장(부구청장) 등을 말한다.

 

중앙정부나 지자체 조직의 직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분위기에 따라 일자리 증가를 크게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자리 규모는 행정부의 담당 부서에 큰 변화가 없는 한 현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위 공무원이 하는 일

 

정부·공공행정전문가는 중앙 및 지방행정 기관의 부서, 또는 정부산하단체에서 정책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고 실무적인 책임을 지는 일을 한다. 정부·공공행정전문가는 중앙 및 지방행정 기관의 부서 또는 정부산하단체에서 정책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고 실무적인 책임을 지는 자로서 일반적으로 예하 직원의 협조를 받아 고위공무원 으로부터 위임받은 직무를 수행한다.

 

주요 업무로는 총무, 인사, 구매 및 회계 관련 업무를 기획하거나 재정, 세무, 통상, 보건, 교육, 고용 등의 업무를 취급한다. 또한 정부, 공공기업체에서 일반 행정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고 실무적인 책임을 진다. 공무원의 경우 5급 사무관, 4급 서기관 등이 이 직무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5급 사무관을 임용하는 행정고시의 경우 행정직군과 기술직군으로 구분되는데 행정직군은 다시 일반행정, 인사조직, 법무행정, 재경, 국제통상, 교육행정 등으로 구분하여 채용한다. 일반 행정직의 경우 전 부처에서 근무가능하며 인사조직

 

직류는 인사혁신처, 법무행정직류는 법제처나 공정거래위원회, 재경 직류의 경우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국세청, 국제통상직류는 산업통상 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행정직류인 경우 교육부 등을 중심으로 주로 근무하게 된다. 이들은 각 부처의 정책과 실행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며 유관부처나 기관과 협업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한다.

 

 

업무 환경

 

정부·공공행정전문가는 대부분의 업무시간을 사무실 내에서 보내며 회의를 할 때도 많다. 또한 업무와 관련하여 외부 행사나 모임, 회의 등에 참가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실무진의 도움을 받아 업무를 수행하며 비서를 두는 경우도 있다. 정부 및 지자체 관련 주요 정책에 대한 의사결정과 실질적인 책임을 담당하는 데서 오는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을 수 있다.

 
 

직무개요

중앙 및 지방행정기관에서 정부정책과 그에 관련된 정책 집행을 기획·지휘·조정한다.

 

수행직무

  • 정부의 정책을 결정하고 예산 및 법령안을 작성·수정하며 정부부처의 법령을 해석하고 적용한다.
  • 정책수행을 기획·조직 및 통제하고 외국에서 국가를 대표·대리한다.
  • 정부부처의 관련 행정업무를 기획·지휘·조정한다.
  • 각급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조직 및 행정 관리를 담당한다.
  • 지자체의 주민복지 증진, 산업진흥과 지역개발 등 지방행정 분야의 정책 수행을 기획·조직·통제한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